camelia2 님의 블로그
[NPL 기초②] 투자 방식별 수익 구조 본문
지난 첫 번째 글에서는 **부실채권(NPL)**이 무엇인지 살펴봤습니다.
이번에는 NPL 투자 방식별로 어떻게 수익이 발생하는지 구체적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1. 부실채권 투자, 수익이 생기는 원리
NPL 투자 수익의 핵심은 저가 매입 → 원금·이자·담보 회수입니다.
즉, 채권을 싸게 사서 그보다 더 많이 회수할 때 생기는 차익이 곧 수익입니다.
수익 발생 구조
- 차익: 채권 매입가가 회수 금액보다 낮을 때
- 이자 수익: 원금 회수 시 포함된 약정이자, 연체이자
- 부가 수익: 합의금, 지연손해금, 경매 잔여 배당금 등
2. 투자 방식 ① 경매 참여형
채무자가 상환을 하지 않으면 담보 부동산이 경매로 넘어갑니다.
NPL 투자자는 채권자로서 경매 절차에 참여하게 되고,
배당금이나 직접 낙찰을 통해 원금과 이자를 회수합니다.
특징
- 낙찰가가 높을수록 수익률 상승
- 법원 경매 절차에 따라 비교적 안정적인 회수 가능
- 다만 회수까지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음 (6개월~1년 이상)
3. 투자 방식 ② 합의 회수형
경매 절차에 들어가기 전, 채무자와 협의하여 채권을 조기 상환받는 방식입니다.
채무자는 경매를 피하고 신용을 지키고 싶어 하므로, 일정 금액을 제시하면 합의가 성사되기도 합니다.
장점
- 회수 속도가 빠름 (몇 주~몇 달 내 가능)
- 경매 절차를 거치지 않아 절차 간소화
주의점
- 협상력이 중요
- 채무자의 실제 상환 능력 판단 필수
4. 투자 방식 ③ 담보권 매각형
매입한 NPL을 다른 투자자나 금융기관에 되파는 방법입니다.
이른바 채권 전매 방식으로, 단기간에 현금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.
특징
- 현금 흐름 확보에 유리
- 매매차익 실현 가능
- 단, 매각 시점의 시장 가격 변동 위험 존재
5. 투자 방식 ④ 질권대출 활용형
NPL을 보유하고 있지만, 아직 회수 시점이 멀었을 경우
이를 **금융기관에 담보로 제공해 대출(질권대출)**을 받아 현금을 확보하는 방법입니다.
원리
- NPL 채권을 질권 설정 → 금융기관으로부터 일정 비율(보통 50~70%) 대출
- 확보한 자금으로 다른 NPL이나 투자 기회 재투자 가능
- 회수 시점에 대출금 상환 후 남은 차익 확보
장점
- 보유 NPL을 활용한 레버리지 효과
- 유동성 확보 용이
주의점
- 이자 비용과 대출 조건 확인 필수
- 채권 가치 평가가 낮게 잡힐 수 있음
6. 투자 시 필수 주의사항
- 법률 이해 – 경매법, 민법, 부동산 등기제도
- 채권 실사(DD) – 담보 가치, 근저당 순위, 채무자의 상환 능력
- 회수 전략 – 경매, 합의, 매각, 질권대출 중 최적 방식을 사전 계획
- 자금 계획 – 회수까지 걸리는 기간 동안 묶이는 자금 관리
💬 마무리
NPL 투자는 고수익이 가능한 대신, 정보력과 분석력과 리스크 관리 능력이 반드시 필요합니다.
그래서 저는 제가 직접 하지 않고 정보력과 분석력이 뛰어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 투자합니다.
경매의 흐름을 아시는 분들이 이 수익구조를 이해가 잘 되므로 먼저 경매를 경험 해 보시길 추천합니다.
다음 글에서는 NPL 투자 시 꼭 알아야 할 법률 절차를 다뤄 드리겠습니다.
'NPL투자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PL투자기초4 개인이 부실채권(NPL)을 살 수 있는 실전 3가지 루트 (5) | 2025.08.10 |
---|---|
NPL 투자기초3 투자 시 꼭 알아야 할 법률 절차 (0) | 2025.08.05 |
NPL 기초 - 경매의 또 다른 꽃 (1) | 2025.07.26 |